맨위로가기

대훈위 이화대수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훈위 이화대수장은 1897년 대한제국 칙령에 의해 제정된 훈장으로, 대훈위 서성대수장 아래, 태극일등장 위에 위치하며, 이화 문양을 사용했다. 고종 황제가 태극훈장 1등급 수여자 중 특별한 공적이 있는 자에게 수여하도록 했으며, 황제만이 수여자를 결정할 수 있었다. 훈장은 정장과 부장으로 구성되며, 붉은색 대수를 사용해 패용한다. 심순택을 시작으로, 일본 제국, 청나라 인물과 친일반민족행위자들에게 다수 수여되어 권위가 실추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훈장 -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금척대수장은 1897년 대한제국에서 제정된 훈장으로, 조선 태조의 설화에서 유래되었으며, 황실과 특별한 공훈이 있는 자에게 수여되었다.
  • 대한제국의 훈장 - 태극장
    태극장은 1897년 대한제국에서 제정된 훈장으로, 문무관의 훈공을 평가하여 수여되었으며, 등급별로 수여 대상과 형태에 차이를 두어 위계를 나타냈다.
  • 이화대훈장 수훈자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이화대훈장 수훈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대훈위 이화대수장 - [상(Prize)]에 관한 문서
훈장 정보
대훈위 이화대수장 (정장, 대수, 약수)
대훈위 이화대수장 (정장, 대수, 약수)
이름대훈위 이화대수장
한글대훈위 이화대수장
한자大勳位李花大綬章
로마자 표기daehunwi ihwadaesujang
수여 기관대한제국의 황제
유형대훈위
수여 중단1910년
제정일1897년 4월 17일 (대한제국)
최초 수여1902년 3월 16일
최종 수여1910년 8월 27일
수훈 대상태극장을 받은 후 특별한 공적이 있는 사람
외국인 포함
상위 훈장대훈위 서성대수장
하위 훈장태극일등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부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부장)
기타 정보
비고대한제국의 훈장

2. 역사

1897년 4월 17일(광무 1년) 대한제국 칙령 제13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가 반포되면서 제정되었다. 훈등은 대훈위(大勳位)이고 등급은 없으며 대훈위서성대수장 아래에 있고, 태극일등장 위에 있다.[52] 훈장의 명칭은 나라의 문양에서 취하였으며,[51] 문무관 중에서 태극일등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훈공이 있을 때 황제의 특지(特旨)로 수여되었다.[52]

3. 형태

대훈위 이화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은 지름 7.5cm의 금(金) 재질이며, 중앙에 백색 선을 두른 청홍색 태극 문양을 두고 홍백색 광선과 십자형 백색 광선, 그리고 백색 오얏꽃을 배열하였다. 정장의 꼭지와 고리는 금제이며, 백색 오얏꽃을 세 장의 녹색 잎이 받치고 있는 형상이다. 잎사귀 뒷면에는 전서체로 '훈공정장(勳功旌章)'이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53] 부장은 정장과 같지만 너비가 9cm이고, 금·은 재질이다. 뒷면에 은제 패침이 있고 전서체로 '훈공정장'이 음각되어 있다.[53]

붉은색 바탕에 황변직(黃邊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르고, 끝 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 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단다.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52][53] 약수(略綬)는 대수와 재질이 같고 원형이며, 중앙에 황색 오얏꽃이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53] 통상 예복 착용 시 왼쪽 옷깃 단추 구멍에 걸어서 패용한다.[52]

4. 수장자 명단

연도일자이름직책·작위국적출처
1902년3월 16일심순택영돈녕원사대한제국[3]
1902년3월 24일이노우에 가오루특명부전권판리대신일본 제국[4]
1904년9월 16일윤용선특진관대한제국[5]
이재완완순군대한제국[5]
민영환원수부 회계국 총장대한제국[5]
1904년9월 19일고무라 주타로외무대신일본 제국[6]
다나카 미쓰아키궁내대신일본 제국[6]
1905년1월 18일하세가와 요시미치육군대장, 남작일본 제국[20]
1905년2월 27일이쾅경친왕청나라[7]
1905년3월 7일오카자와 구와시시종무관장, 육군대장, 남작일본 제국[8]
1905년3월 19일이재각의양군대한제국[9]
1905년5월 28일오우라 가네다케체신대신일본 제국[10]
1905년6월 29일도쿠다이지 사네쓰네시종장, 후작일본 제국[25]
1906년6월 22일노즈 미치쓰라육군대장, 백작일본 제국[26]
이토 스케유키해군대장, 자작일본 제국[26]
이노우에 요시카해군대장, 남작일본 제국[26]
1906년8월 29일오시마 요시마사육군대장, 남작일본 제국[27]
1906년11월 28일구로키 다메모토육군대장일본 제국[11]
데라우치 마사타케육군대신일본 제국[11]
1907년3월 15일이근명영돈녕사사대한제국[29]
민영휘표훈원 총재대한제국[29]
1907년5월 1일도쿠가와 이에사토공작일본 제국[30]
1907년5월 28일이은영친왕대한제국[31]
1907년9월 7일민병석시종원경대한제국[32]
1907년9월 19일이재면완흥군대한제국[33]
1907년10월 10일민영규태의원 도제조대한제국[34]
1907년10월 18일이와쿠라 도모사다추밀원 고문관, 공작일본 제국[35]
하나부사 요시모토궁내차관, 자작일본 제국[35]
1907년10월 25일이완용내각총리대신대한제국[36]
1907년10월 30일윤택영해풍부원군대한제국[37]
1907년12월 2일이준용영선군대한제국[38]
1908년1월 18일소네 아라스케통감부 부통감일본 제국[39]
1908년1월 29일하라 다카시내무대신일본 제국[40]
사카타니 요시로대장대신, 남작일본 제국[40]
사이토 마코토해군대신, 남작일본 제국[40]
마쓰다 마사히사사법대신일본 제국[40]
마키노 노부아키문부대신, 남작일본 제국[40]
야마가타 이사부로체신대신일본 제국[40]
마쓰오카 야스코와농상무대신일본 제국[40]
스에마쓰 노리즈미추밀원 고문, 자작일본 제국[40]
가가와 게이조황후궁대부, 백작일본 제국[40]
도다 우지타카식부장, 백작일본 제국[40]
와타나베 치아키내장두, 자작일본 제국[40]
1908년2월 14일이지용중추원 고문대한제국[41]
이윤용궁내부 대신대한제국[41]
1908년10월 10일나베시마 나오히로궁중 고문관, 후작일본 제국[42]
1908년10월 29일오카자키 세이조육군중장, 남작일본 제국[43]
1909년4월 9일오쿠보 하루노육군대장, 남작일본 제국[44]
1909년5월 26일니시지마 스케요시육군중장일본 제국[45]
1909년6월 8일이주인 고로해군중장, 남작일본 제국[46]
데와 시게토해군중장, 남작일본 제국[46]
1910년4월 5일조병호규장각 지후관대한제국[47]
1910년5월 19일이시구로 다다노리육군군의총감, 남작일본 제국[48]
1910년8월 26일박제순내부대신대한제국[49]
고영희탁지부대신대한제국[49]
이용직학부대신대한제국[49]
조중응농상공부대신대한제국[49]
김윤식중추원 의장대한제국[49]
윤덕영시종원경대한제국[49]
이병무시종무관장대한제국[49]
1910년8월 27일이해창창산군대한제국[50]
이해승청풍군대한제국[50]


4. 1. 대한제국

다음은 대한제국 시기 대훈위 이화대수장을 수여받은 인물들이다.

연도일자이름직책·작위비고
1902년3월 16일심순택영돈녕원사
1904년9월 16일윤용선특진관
이재완완순군
민영환원수부 회계국 총장독립운동가, 을사늑약에 반대하여 자결
1905년3월 19일이재각의양군
1907년3월 15일이근명영돈녕사사
민영휘표훈원 총재
1907년5월 28일이은영친왕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1907년9월 7일민병석시종원경친일반민족행위자
1907년9월 19일이재면완흥군
1907년10월 10일민영규태의원 도제조
1907년10월 25일이완용내각총리대신을사오적, 친일반민족행위자
1907년10월 30일윤택영해풍부원군친일반민족행위자
1907년12월 2일이준용영선군
1908년2월 14일이지용중추원 고문을사오적,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윤용궁내부 대신
1910년4월 5일조병호규장각 지후관
1910년8월 26일박제순내부대신을사오적, 친일반민족행위자
고영희탁지부대신친일반민족행위자
이용직학부대신친일반민족행위자
조중응농상공부대신친일반민족행위자
김윤식중추원 의장친일반민족행위자
윤덕영시종원경친일반민족행위자
이병무시종무관장친일반민족행위자
1910년8월 27일이해창창산군친일반민족행위자
이해승청풍군친일반민족행위자


4. 2. 일본 제국

수여일이름직책 및 작위비고
1902년 3월 24일이노우에 가오루특명부전권판리대신[4]
1904년 9월 19일고무라 주타로외무대신[6]
다나카 미쓰아키궁내대신[6]
1905년 1월 18일하세가와 요시미치육군대장, 남작[20]
1905년 3월 7일오카자와 구와시시종무관장, 육군대장, 남작[8]
1905년 5월 28일오우라 가네다케체신대신[10]
1905년 6월 29일도쿠다이지 사네쓰네시종장, 후작[25]
1906년 6월 22일노즈 미치쓰라육군대장, 백작[26]
이토 스케유키해군대장, 자작[26]
이노우에 요시카해군대장, 남작[26]
1906년 8월 29일오시마 요시마사육군대장, 남작[27]
1906년 11월 28일구로키 다메모토육군대장[11]
데라우치 마사타케육군대신[11]
1907년 5월 1일도쿠가와 이에사토공작[30]
1907년 10월 18일이와쿠라 도모사다추밀원 고문관, 공작[35]
하나부사 요시모토궁내차관, 자작[35]
1908년 1월 18일소네 아라스케통감부 부통감, 초대 조선 통감[39]
1908년 1월 29일하라 다카시내무대신[40]
사카타니 요시로대장대신, 남작[40]
사이토 마코토해군대신, 남작[40]
마쓰다 마사히사사법대신[40]
마키노 노부아키문부대신, 남작[40]
야마가타 이사부로체신대신[40]
마쓰오카 야스코와농상무대신[40]
스에마쓰 노리즈미추밀원 고문, 자작[40]
가가와 게이조황후궁대부, 백작[40]
도다 우지타카식부장, 백작[40]
와타나베 치아키내장두, 자작[40]
1908년 10월 10일나베시마 나오히로궁중 고문관, 후작[42]
1908년 10월 29일오카자키 세이조육군중장, 남작[43]
1909년 4월 9일오쿠보 하루노육군대장, 남작[44]
1909년 5월 26일니시지마 스케요시육군중장[45]
1909년 6월 8일이주인 고로해군중장, 남작[46]
데와 시게토해군중장, 남작[46]
1910년 5월 19일이시구로 다다노리육군군의총감, 남작[48]


4. 3. 청나라

이쾅


1905년 2월 27일, 대한제국청나라경친왕 이쾅에게 대훈위 이화대수장을 수여하였다.[7][21]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06
[2] 서적 대한제국시대훈장제도 https://books.google[...] 白山出版社 1999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4-14
[4]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6
[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4-14
[6]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6
[7]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4
[8]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6
[9]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4
[10]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4
[11]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14
[1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2-04-25
[1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2-04-25
[14] 서적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백산출판사
[1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2-04-25
[1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1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1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19]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0]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29]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0]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39]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0]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49]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50]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国史編纂委員会 2021-06-15
[51] 웹인용 조서를 내려 각 훈장의 이름과 뜻을 밝히도록 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2-04-25
[52] 웹인용 훈장 조례를 반포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2-04-25
[53] 서적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백산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